상단영역

본문영역

관변단체라 불렀던 국민운동 단체의 어제와 오늘

[독자 기고] 서해식 / 전남문인협회 이사

  • 완도신문 wandonews@naver.com
  • 입력 2019.05.20 08:22
  • 수정 2019.05.20 08:24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해식 / 전남문인협회 이사

근면 자조 헙동의 슬로건을 내걸고 하면 돤다는 신념으로  숙명적인 가난을 떨구고 근대화에 불씨를 지핀 새마을 운동은 1970년 4월 22일에 시동을 걸었다 2019년  4월22일이 49주년이 되었고 2011년에 새마을의 날이 제정되어 새마을의 날  9주년 기념식이 중앙회를 위시하여 전국 17개 시도에서도 일제히 진행되었다.

중앙회 행사에서는 행정자치부 진영장관이 축사를 하였는데 강원도산불 현장에서 새마을 지도자들의눈부신 봉사활동을 보았다면서 새마을 정신을 치하했다.

이른바 박정희시대의 개발독재의 산물이라고 폄훼 하기도 하지만 절대 빈곤의 운명을 바꾼 한강의 기적을 일궈낸 국민운동이라는 긍정적인측면이 보수와 진보를 아우르고 새로운 좌표  설정을 요구하고 있다. 

이승만  자유당 정부부터 시작하여 박정희 전두환으로 이어져 내려온 극우 독재정권의 통치수단으로 탄생한 관변단체라 이름한 반공연맹이 나중에 자유총연앵으로 박정희 대통령 때의 새마을운동. 전두환시절의 사회정화위윈회가 나중에 바르게 살기운동위윈회로 바뀌게 된 것을 보았다.

피해의식이 강한 지역에서는  독재시대의 앙금이 남아 있기에 관변 단체로 분류되는 국민운동 단체를 곱지 않는 시각으로 보기도 한다. 비근한 예로 김대중 아들 이라는 신분으로 끌려가 심한 고문을 당한 고 김홍일 의원같은 경우는 후유증으로 파긴스병에 걸려 고난을 겪었다.  민주투사 김근태 전의원도 고문 후유증으로 일찍 세상을 떠났다  5'18민주화 운동도 전두환 때문에 일어났다.

광주에서 만큼은 얼마전에 광주시의회  조례로 새마을지도자 자녀 장학금  제도를 페지한바 있다. 지역에서 국민운동 단체를 운용하고 봉사활동을 한다 하더라도 반민주화의 유산으로 이어져 온 것일지도 모른다는 정체성에 성찰이 필요 하다고 본다.

지역 단위에서 새마을조직은 위력이 있고 특히 부녀회 활동은 눈부시다. 보수정권이 아닌 진보정권이라는 진영에서도 구 시대의 유산을 끌어 안고 가야할 딜레마를 본다.

신경세포와 같은 국민운동조직을 외면 하고서는 국민 마음을 움직일 동력을  찾기가 쉽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저작권자 © 완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